수질 환경 관련 Study

문과 출신이라 이런 공부를 할 기회를 갖기가 쉽지 않은데, 인연이 되어 흥미를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학을 전공하시는 분들이 문제를 바라보고, 접근하는 자세를 배우고, 제 삶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 같아서,

틈나는대로 공부하고 있는 중입니다. 하하

modified at
2025년 03월 26일
장운호
2025년 03월 25일
3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용존산소 부족 곡선 (Streeter Phelps 모델)

아래 링크에 관련 공식을 원리에서부터 설명하고 있습니다.

최소 임계시간 공식 유도

D=k1L0k2k1(ek1tek2t)+Doek2tD = \frac{k_1 L_0}{k_2 - k_1}(e^{-k_1 t} - e^{-k-2 t}) + D_o e^{-k_2 t}

가장 용존 산소가 부족한 시간(tct_c)과 그 양(DcD_c)을 파악할려면 위 식을 미분하여 그 값이 0이 되는 임계치 들을 찾으면 된다고 하시네요.

dDdt=k1L0k2k1(k1ek1t+k2ek2t)k2D0ek2t=0\frac{dD}{dt} = \frac{k_1 L_0}{k_2 - k_1}(-k_1 e^{-k_1 t} + k_2 e^{-k_2 t}) -k_2 D_0 e^{-k_2 t} = 0

이제 지수 부분에 있는 tt를 기준으로 정리를 하면 공식이 유도가 됩니다.

하천수의 수질관리 요약

장운호
2025년 03월 26일
장운호
2025년 03월 28일

완전 혼합 반응조 공식에 대한 물질수지 관점의 이해도 제고 필요

들어온 고형물의 양은 최종 유출되는 고형물의 양 + 반응으로 세포화된 고형물의 질량과 같아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가 된다.
대기과학에서는 유사한 개념을 "연속 방정식"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 하였던 것을 보면,
공학적인 접근은 비슷한 측면이 많은 것 같다.

CSFTR 직렬 n개 연결 공식 유도
기질 반응시간 공식 유도

기본 공식 : QdCdt=QCoQCtkCtnVQ \frac{dC}{dt} = Q C_o - Q C_t - k C_t^{n} V

정상상태 (변화 속도가 일정하다면, 고형물의 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0=Q(CoCt)kCtnV\qquad \qquad 0 = Q(C_o - C_t) - k C_t^{n} V가 된다.

modified at
2025년 03월 25일
장운호
2025년 03월 25일
||||
 
100:0